TIL
Git branch
git 브랜치 조회 git branch : 유효한 모든 branch표시. *표시가 있는 branch는 현재 가르키고 있는 브런치를 의미함 git 브랜치 생성 git branch [branch이름] : "branch이름"을 가진 새로운 branch 생성. 브랜치를 생성하면 현재 속해있는 브랜치의 상태 그대로를 복사해서 생선된다. git 브랜치 이동 git checkout [branch이름] : "branch이름"으로 이동 git checkout -b [branch이름] : "branch이름"을 생성하고 해당 브랜치로 이동 모든 브랜치의 log 조회 git log --branches --decorate : 모든 브랜치의 로그를 조회하되 색으로 구별된 브랜치 이름도 표기 git log --branches --..
git의 원리
git add git add 명령을 실행하면 최상단에 해당 오브젝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index라는 파일에 add한 파일에 대한 오브젝트가 생성된다. 이 때 만약 파일 안에 내용이 같을 경우 index 안에서는 같은 오브젝트를 바라보게 된다(상단 오른쪽 이미지 참조). 그 이유는 뭘까? git은 파일이름을 정하는 원리는 SHA-1이라는 해쉬알고리즘을 이용해 압축된 파일 내용을 변환한다. 따라서 파일 내용이 같으면 같은 git 파일 명이 나오게 된다. git commit commit을 하면 index에 있던 내용이 담긴 오브젝트(tree)를 담아서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게 된다. 만약 기존의 내용을 수정해서 commit 한다면 tree와 parent를 확인할 수 있다. tree는 내용이 바뀐 현재 상태의..
공부한 git 사용법에 대한 정리
git의 도움말이 필요할 때 git [명령어] --help : 사용방법과 상세 설명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질 user 정보 세팅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mail.com] vim 이 켜졌을 때 입력을 위해서는 i 를 클릭해 insert모드로 전환. -> 다 쓰면 esc를 누르면 insert모드 해제 -> :wq를 입력하면 작성한 내용이 write 되고 quit 된다. 현재 버전을 확인하고 싶을 때 git log log를 확인하고 나가고 싶을 때는 "q" 누르기 git log -p : p옵션을 넣으면 커밋 간 변화를 보여준다. git에 새로 바뀐 부분을 버전관리 시스템에 관리를 명령할..
console.log()로 [object]를 찍고 싶을 때
It's easy~ peasy~lemon-squeeezy~ // 기존에 data라는 오브젝트가 있다고 가정. console.log(JSON.stiringify(data)); // or alert(JSON.stringify(data)); JSON.stringify() 와 JSON.parse() JSON.stringify(value[, replacer, space]) : value를 JSON형태의 값으로 변환시켜주는 함수 JSON.stringify사용방법을 뜯어보면 value는 필수값으로 JSON형태로 변환할 값을 입력한다. replacer와 space는 옵션값이며, replacer는 배열일 수도 함수일 수도 있다. 배열이 매개변수로 넘겨질 경우 배열에 있는 값만 결과 값에 포함된다. 한편 함수로 넘겨질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