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Item 2. 타입스크립트 설정 이해하기
타입스크립트의 설정은 tsconfig.json에서 설정할 수 있다. 파일 이름을 이용해 새로 만들거나 tsc --init을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된다. noImplicitAny 명시적으로 타입을 설정해주지 않으면 에러가 나도록 설정. 암묵적으로 any라고 타입을 추론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가능하면 설정하도록 하고 자바스크립트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를 타입스크립트로 전환하는 경우에만 해제하길 권장한다. strictNullChecks null과 undefined가 모든 타입에서 허용되는 지 확인하는 설정. null이나 undefined 타입을 명시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이 두 값을 할당할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책정보 제목 :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 동작 원리의 이해와 구체적인 조언 62가지 출판사 : 오랠리..
Item 1. 타입스크립트와 자바스크립트의 관계 이해하기
이 책에서는 타입스크립트가 타입스크립트의 superset이라고 설명하지만 글을 쓰는 시점에 타입스크립트 공식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TypeScript is JavaScript with syntax for types.'라고 표기 돼있다.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위한 syntax를 가진 자바스크립트이다.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할 지, 어떻게 사용할 지 선택하는 것은 온전히 개발자의 영역이다. 더보기 제목 :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 동작 원리의 이해와 구체적인 조언 62가지 출판사 : 오랠리 지은이 : 댄 밴더캄 발행 : 2쇄 21년 11월 4일

github Page로 정적페이지 여러 레포지토리 배포하기
아주 손쉽고 간단하게 버튼 하나로 간단한 정적 페이지 배포하기. 이 세상은 아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무섭다. 생략하고 단계로 들어가면 1. 원하는 레포지토리를 만든다. 이 때 만든 레포지토리 이름은 추후에 주소에 사용되니까 참고해서 만들자. 2. 레포지토리에 Setting - Pages 탭에서 Sourcesms 'Deploy form a branch'라고 해놓고 원하는 브랜치를 아래처럼 선택. 3. 이제 인터넷 브라우저에 '본인아이디.github.io/레포이름/' 으로 접속! 따단~!
DOM onclick vs React onClick
아래 두 코드의 차이가 뭘까? ex1 ex2 위의 버튼에서 작성한 onClickButton()의 경우에는 DOM의 Event, 아래는 리액트의 Event이다. 둘의 가시적인 차이는 react에서는 camelCase 컨벤션을 따른다. 또한 DOM Event의 경우에는 외부 자바스크립트를 언제든 쓸 수 있지만 React의 경우에는 이벤트를 반드시 컴포넌트가 생성될 때 명시돼있어야 한다. 참고자료 아티클